본문 바로가기
미술이론수업

[스크랩] 색의 대비와 배색

by 홍차쌤 2010. 11. 6.

 

 

어떤 색이 주위의 색의 영향을 받아 색상, 명도, 채도가 본래의 색과 달리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1.계속대비와 동시대비

 계속대비

  • 한 색을 보고 자극을 받았다가 계속하여 다음에 다른 색을 보게 되면 처음 보았던 색의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이 달라져 보인다.
    (예) 빨간색을 보다가 회색을 보게 되면 청록색 기미를 띠어 보이는 시간차를 둔 대비 현상

 동시대비

  • 시간의 간격 없이 두 개의 색을 나란히 놓고 보았을 때 주위의 색의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과 달라져 보이는 현상

2. 동시 대비

1) 명도 대비

  • 주위의 색의 영향을 받아 명도가 달라 보이는 현상, 같은 명도의 회색을 검정과 흰색 위게 각각 놓았을 때, 검정 위에 있는 회색이 흰색 위에 있는 회색보다 밝게 보인다.

 

검정바탕 위의 회색이 더 밝게 보인다 

 

 2) 채도 대비


 
회색바탕 위의 녹색이 더 맑게 보인다.

  • 주위 색의 영향을 받아 채도가 달라 보이는 형상, 주위 색의 채도가 낮을수록 채도가 높아 보인다.

 

 

3) 색상 대비


  • 주위의 색의 영향을 받아 색상이 달라 보이는 현상, 같은 주황색이라도 빨강 위의 주황이 노랑위의 주황보다 노랑 기미를 더 띄게 된다.

 

 

빨강 위의 주황은 귤색상에 가까워 보이고 노랑 위의 주황은 다홍색에 가까워 보인다.

 

4) 보색 대비

   보색끼리 놓인 색이 서로의 채도를 높아 보이게 하여 뚜렷이 드러나 보이는 현상

 

5) 한난 대비

   따뜻한 느낌의  색과  따뜻한 느낌의 색상을 대비 시키면 찬색은 더욱 차게, 따뜻한 색은 더욱 따뜻한 느낌이 든다.

 

6) 연변 대비(경계 대비)

 모든 대비 현상은 경계선 상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색을 명도 단계 별로 3단계 이상을 나열하면 명도가 높은 색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어둡게 보이고, 반대로 명도가 낮은 색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밝게 보인다.
이와같이 색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대비 현상을 연변 대비 또는 경계대비라고도 한다.
명도의 연변 대비는 명암의 경계에 나타나는 대비 현상으로서 흰색과 회색이 접한 부분이 검정과 회색이 접한 부분보다 더 어두워 보인다.

연변 대비는 색상이나 채도에서도 나타난다. 빨강과 자주의 경계 부근에서 빨강이 더욱 선명하게 보이고 자주는 더욱 탁하게 보인다.



색과 희색이 접했을 때 희색에 접한 부분에 가까울수록 더 어두워 보인다.

7) 면적 대비

면적이 넓은 쪽의 색이 명도와 채도가 더 높아 보인다.
작은 색 견본으로 큰 벽면의 색을 선택할 경우 실제와는 서로 달라 생각하지 않은 실수를 저지르기 쉬운 것도 이와 같은 면적 대비의 현상 때문이다.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이웃하여 놓았을 때, 한 가지 색으로서는 느낄 수 없는 특별한 효과와 느낌을 주는 것을 배색이라 한다.

1. 무채색의 배색

2. 색상차에 따른 배색

유사색

통일감, 조화

 

 

 

 

 

반대색(보색)

화려함, 강렬함

 

 

 

 

 

3. 명도차에 따른 배색

고명도 배색

밝고 경쾌함

 

 

 

 

 

저명도 배색

어둡고 침착함

 

 

 

 

 

명도차가 큰 배색

대조적이며 뚜렷함

 

 

 

 

 

4. 채도에 따른 배색

고채도 끼리 배색

화려 강렬함

 

 

 

 

 

저채도 끼리 배색

차분하고 안정감, 소박함

 

 

 

 

 

채도 차가 큰 배색

대조적이고 산뜻함

 

 

 

 

 

5. 무채색의 배색

무채색만의 배색

흰색, 회색, 검정의 배색은 수수함, 안정감

 

 

 

 

 

무채색과 유채색의 배색

유채색의 명도, 채도가 높으면 뚜렷하고 선명한 느낌,
 낮으면 차분하고 소박함.

 

 

 

 

 

 

출처 : mischool
글쓴이 : 정재종 원글보기
메모 :